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정보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1인당 25만원 누구나 신청

by Ji-Spec 2024. 6. 21.

 

맞춤정책지원금신청하기

 

 

안녕하세요 최근 소상공인, 직장인 할 것 없이 경제가 너무 어려워 힘든 상황입니다. 지속되는 물가 상승으로 점심 값이 만원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고 가족이 삼겹살로 외식을 해도 20만 원 가까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지난 4월 민생회복지원금이라는 뉴스에 다들 깜짝 놀라셨을 것 같습니다. 진짜 누구나 신청 가능한 건지 언제 지급하는 건지 궁금해하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관련된 최근 내용을 확인하여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지급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 1인당 25만원 누구나 신청

반응형

민생회복지원금 지급배경과 방식

민생회복지원금 1인당 25만원 누구나 신청

지급 배경

 

더불어민주당은 6월 국회에서 전 국민 1인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법안을 우선 처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라는 취지입니다.

 

지급 방식

  • 지역화폐 형태로 1인당 25만원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취약계층에게는 10만 원을 추가로 더 지급할 예정입니다.

비판 의견

  • 정부는 예산편성권 침해 및 삼권분립 위반 소지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 전 국민 지급 시 고소득층에게는 추가 소비로 이어지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비 증대 효과도 투입 예산 대비 26~36%에 그쳤습니다.
  • 약 13조원의 막대한 재정 소요가 예상되는 가운데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선별 지급 가능성

  • 최근 전 국민 지급이 아닌 선별 지급 분위기도 있습니다.
  • 이 경우 소득 하위 80% 기준으로 지급 대상을 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야당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반대 이유

정부 반대 이유

 

  • 현재 경제상황이 위기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전 국민 지급 시 고소득층에는 추가 소비로 이어지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 지난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의 소비 진작 효과도 투입 예산 대비 26~36%에 그쳤습니다.
  • 약 13조원의 막대한 재정 소요가 예상되는데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정부의 예산편성권 침해 및 삼권분립 위반 소지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야당(국민의힘) 반대 이유

  • 물가상승을 부추겨 민생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 국가채무를 증가시켜 미래세대에 부담을 전가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위헌 소지가 있다는 전문가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야당이 민생지원금을 지지하는 이유

 

야당이 민생지원금 지급을 지지하는 주요 이유

 

  •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국민 생활고를 완화하기 위해서입니다.
  • 최근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으로 서민가계의 실질소득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 민생지원금 지급을 통해 이러한 가계부 담을 덜어주고자 합니다.
  • 내수 진작과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 정부의 재정 역할이 부족해 내수가 위축되고 경기가 침체된 상황입니다.
  • 민생지원금이 가계소비를 촉진해 경기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 총선 공약 이행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 총선 압승의 결과로 이를 실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정부의 부자감세 정책에 대한 비판 의미도 있습니다.
  • 정부가 부자감세 정책으로 재정건전성을 훼손했다는 지적입니다.
  • 민생지원금은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서민을 위한 재정지출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어떠한 좋은 제도라도 본 뜻에서 변질되거나 지나치게 된다면 결국은 좋지 않은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맞다 틀리다가 아닌 상생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어 국민들 시민들이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좋은 제도와 서비스를 제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